[백준17478/Python] 재귀함수가 뭔가요?

    반응형
    SMALL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17478

     

    문제

    평소에 질문을 잘 받아주기로 유명한 중앙대학교의 JH 교수님은 학생들로부터 재귀함수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많은 질문을 받아왔다.

    매번 질문을 잘 받아주셨던 JH 교수님이지만 그는 중앙대학교가 자신과 맞는가에 대한 고민을 항상 해왔다.

    중앙대학교와 자신의 길이 맞지 않다고 생각한 JH 교수님은 결국 중앙대학교를 떠나기로 결정하였다.

    떠나기 전까지도 제자들을 생각하셨던 JH 교수님은 재귀함수가 무엇인지 물어보는 학생들을 위한 작은 선물로 자동 응답 챗봇을 준비하기로 했다.

    JH 교수님이 만들 챗봇의 응답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입력

    교수님이 출력을 원하는 재귀 횟수 N(1 ≤ N ≤ 50)이 주어진다.

    출력

    출력 예시를 보고 재귀 횟수에 따른 챗봇의 응답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2
    

    예제 출력 1 복사

    어느 한 컴퓨터공학과 학생이 유명한 교수님을 찾아가 물었다.
    "재귀함수가 뭔가요?"
    "잘 들어보게. 옛날옛날 한 산 꼭대기에 이세상 모든 지식을 통달한 선인이 있었어.
    마을 사람들은 모두 그 선인에게 수많은 질문을 했고, 모두 지혜롭게 대답해 주었지.
    그의 답은 대부분 옳았다고 하네. 그런데 어느 날, 그 선인에게 한 선비가 찾아와서 물었어."
    ____"재귀함수가 뭔가요?"
    ____"잘 들어보게. 옛날옛날 한 산 꼭대기에 이세상 모든 지식을 통달한 선인이 있었어.
    ____마을 사람들은 모두 그 선인에게 수많은 질문을 했고, 모두 지혜롭게 대답해 주었지.
    ____그의 답은 대부분 옳았다고 하네. 그런데 어느 날, 그 선인에게 한 선비가 찾아와서 물었어."
    ________"재귀함수가 뭔가요?"
    ________"재귀함수는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라네"
    ________라고 답변하였지.
    ____라고 답변하였지.
    라고 답변하였지.
    

    예제 입력 2 복사

    4
    

    예제 출력 2 복사

    어느 한 컴퓨터공학과 학생이 유명한 교수님을 찾아가 물었다.
    "재귀함수가 뭔가요?"
    "잘 들어보게. 옛날옛날 한 산 꼭대기에 이세상 모든 지식을 통달한 선인이 있었어.
    마을 사람들은 모두 그 선인에게 수많은 질문을 했고, 모두 지혜롭게 대답해 주었지.
    그의 답은 대부분 옳았다고 하네. 그런데 어느 날, 그 선인에게 한 선비가 찾아와서 물었어."
    ____"재귀함수가 뭔가요?"
    ____"잘 들어보게. 옛날옛날 한 산 꼭대기에 이세상 모든 지식을 통달한 선인이 있었어.
    ____마을 사람들은 모두 그 선인에게 수많은 질문을 했고, 모두 지혜롭게 대답해 주었지.
    ____그의 답은 대부분 옳았다고 하네. 그런데 어느 날, 그 선인에게 한 선비가 찾아와서 물었어."
    ________"재귀함수가 뭔가요?"
    ________"잘 들어보게. 옛날옛날 한 산 꼭대기에 이세상 모든 지식을 통달한 선인이 있었어.
    ________마을 사람들은 모두 그 선인에게 수많은 질문을 했고, 모두 지혜롭게 대답해 주었지.
    ________그의 답은 대부분 옳았다고 하네. 그런데 어느 날, 그 선인에게 한 선비가 찾아와서 물었어."
    ____________"재귀함수가 뭔가요?"
    ____________"잘 들어보게. 옛날옛날 한 산 꼭대기에 이세상 모든 지식을 통달한 선인이 있었어.
    ____________마을 사람들은 모두 그 선인에게 수많은 질문을 했고, 모두 지혜롭게 대답해 주었지.
    ____________그의 답은 대부분 옳았다고 하네. 그런데 어느 날, 그 선인에게 한 선비가 찾아와서 물었어."
    ________________"재귀함수가 뭔가요?"
    ________________"재귀함수는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라네"
    ________________라고 답변하였지.
    ____________라고 답변하였지.
    ________라고 답변하였지.
    ____라고 답변하였지.
    라고 답변하였지.
    

    풀이

    코드

    n = int(input())
    s = '____'
    def one(i, n):
            print(s*i+'"재귀함수가 뭔가요?"')
            if i == n :
                print(s*i+'"재귀함수는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라네"')
            else:
                print(s*i+'"잘 들어보게. 옛날옛날 한 산 꼭대기에 이세상 모든 지식을 통달한 선인이 있었어.')
                print(s*i+'마을 사람들은 모두 그 선인에게 수많은 질문을 했고, 모두 지혜롭게 대답해 주었지.')
                print(s*i+'그의 답은 대부분 옳았다고 하네. 그런데 어느 날, 그 선인에게 한 선비가 찾아와서 물었어."')
                one(i+1, n) # 깊이(i)를 1 증가시켜 다음단계로 이동
            print(s*i+'라고 답변하였지.') #재귀호출 복귀
    
    print("어느 한 컴퓨터공학과 학생이 유명한 교수님을 찾아가 물었다.")
    one(0, n)

    --

    재귀 함수의 동작 원리

    1. 재귀 함수란?
      •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하는 함수입니다.
      • 각 호출마다 새로운 함수 실행 흐름(스택 프레임)을 만듭니다.
      • 즉, **"현재 실행 흐름을 멈추고, 새로운 실행 흐름으로 넘어가는 방식"**입니다.

    i+1이 다음 단계로 가는 이유

    one(i+1, n)을 호출하면, 현재 함수(one)가 멈추고 i+1 값을 가진 새로운 함수가 실행됩니다.
    i+1은 "재귀 호출의 깊이"를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 호출 순서:
      • 처음: i=0으로 호출됨 → one(0, n)
      • 다음: one(1, n) 호출 → i=1
      • 그다음: one(2, n) 호출 → i=2
      • ...

    예시: one(0, n) 호출 과정

    1. 처음 one(0, n)이 실행되면 i=0으로 동작.
    2. 코드 안에 one(1, n)이 호출됨.
      • 이때 새로운 i=1인 함수 실행 흐름이 만들어짐.
    3. one(1, n)이 실행되고, 다시 one(2, n)을 호출.
      • 또 새로운 i=2 실행 흐름이 만들어짐.
    4. 이렇게 계속 재귀 호출을 반복하며 각 호출이 새로운 깊이로 이동합니다.

    재귀 호출 스택의 흐름

    재귀 함수는 **스택(stack)**이라는 메커니즘으로 동작합니다.

    1. 함수가 호출되면, 현재 함수 상태를 저장하고 새로운 함수 호출로 넘어갑니다.
      • 예: one(0, n) 실행 → one(1, n)으로 이동.
    2. 모든 재귀 호출이 끝나면, 저장된 상태를 복구하면서 원래 호출된 함수로 돌아옵니다.
      • 가장 깊은 호출(i=n)부터 차례로 복귀.

    왜 i+1이 다음 단계로 연결되나?

    i+1이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이유는 재귀 호출의 기본 원리 때문입니다:

    • one(i+1, n)을 호출하면, 새로운 i+1 값으로 새로운 함수 실행 흐름이 시작됩니다.
    • 이전 단계(i=0)는 호출된 상태로 대기하며, 새로운 단계(i=1)가 실행됩니다.

    결론

    i+1을 사용하면 재귀 호출의 깊이를 1씩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각 호출은 새로운 함수 실행 흐름을 생성하며, 이를 통해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것처럼 보이는" 결과를 얻는 것입니다. 재귀 함수가 깊이를 1씩 늘려가며 호출되고, 끝나면 반대로 복귀하면서 마무리됩니다.

     
    반응형
    LIST

    'Algorithm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25501/Python] 재귀의 귀재  (2) 2025.02.02
    [백준2440/Python] 별찍기 - 3  (0) 2025.01.29
    [백준10828/Python] 스택  (0) 2025.01.28
    [백준17608/Python] 막대기  (0) 2025.01.28
    [백준10773/Python] 제로  (0) 2025.01.27

    댓글